ⓒ 네이버 홈페이지 캡쳐 19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한 후보 가운데 먹거리 정책과 관련된 공약을 내놓은 후보는 단 한 명에 불과해 정치권이 국민의 먹거리 주권이나 식량안보에 대해서는 관심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5명의 주요 후보가 선관위에 제출한 10대 공약을 분석한 결과 먹거리와 연관이 있는 농림해양수산 및 산업지원 분야의 경우 기호 3번 안철수 후보만이 국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과 식량주권·해양주권 확보를 공약 목표로 제시했을 뿐 나머지 후보들은 농어업과 소상공인 지원 정책만 내놓았다. ⓒ 밥상머리뉴스 기호1번 문재인 후보는 ▲새로운 농어업정책 패러다임 전환 ▲농산어민 소득증대 및 삶의 질 향상을 공약목표로 제시했다. 기호2번 홍준표 후보는 ▲소상공인과 골목상권, 전통시장 보호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농업인들의 고정수입 지원으로 안정적 영농활동 영위 등을 공약목표로 제시했다. 기호4번 유승민 후보는 10대 공약에 농식품 관련 공약이 포함되지 않았으며, 기호5번 심상정 후보는 ▲지속 가능한 농어업으로 전환 ▲중소기업과 중소상공인 보호를 공약했다. 이에 비해 기호3번 안철수 후보는 ▲국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 ▲식량주권·해양주권 확보를 공약목표로 제시해 다른 후보들에 비해 매우 포괄적이고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반영한 공약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안철수 후보는 공약을 이행하는 방법도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먼저, 국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을 위해서는 축산물과 농식품 등 먹거리의 안전과 위생, 질병 문제 등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GMO 및 수입 위해식품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쌀 소비확대를 위해 학교급식을 확대 개편하고, 학교급식에 우유 등 유제품을 포함해 어린이 건강을 향상시키도록 하겠다고 공약했다. 둘째, 식량주권 확보를 위해서는 쌀 등 주요 식량작물의 자급률 향상과 수급 안정화를 통한 식량주권을 확립하고, 논에 벼 외에 타 작물을 재배토록 해 옥수수, 콩 등 부족한 곡물의 자급률을 높이고 농가소득 감소분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는 반면 식량 생산량과 재고량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식량이 무기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따라서 국가 차원의 식량안보 대책이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후보들이 이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다.
(자세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