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 한국식품영양학회지에 실린 '한국인의 개고기 식용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응답자 1,502명 중 86.3%가 개고기 식용에 찬성한다고 답했고, 1998년 유니텔의 '멍멍탕 어떻게 생각하세요'라는 설문 결과에서도 응답자 1,212명 중 78.6%가 찬성했었다.
그런데 20여 년이 지난 지금은 개고기 식용을 찬성하는 여론보다 반대하는 여론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경기도가 지난 5월 11과 12일 이틀간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개고기 식용 관련 도민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개고기를 먹는 것에 대해 62%가 반대했고, 앞으로 개고기를 먹을 의향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84%가 '없다'고 응답했다.
이는 동물자유연대에서 지난 2019년 한국갤럽을 통해 실시한 '개식용 산업 시민 인식 조사' 중 향후 개고기 섭취 의향에 대한 질문에서도 긍정(27.5%)보다 부정(71.9%) 답변 비율이 월등히 높았던 것과 일맥상통한 결과로 해것할 수 있다.
조사기관과 조사지역, 조사 방법 등에 차이는 있지만 20여 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개고기의 식용을 반대하는 여론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개고기 식용 금지 법안 마련에 대해서는 찬성(64%)이 반대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 또한 전에 비해 찬반 비율이 뒤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의 2008년 '개고기 식용 합법화 여론조사'에서는 합법화 반대가 27.9%에 불과했으나, 동 기관의 2018년 6월 '개고기 식용 금지법 여론조사'에서는 금지법 찬성 의견이 39.7%로 나타났고, 이번 경기도민 인식 조사에서는 금지 법안 찬성 의견이 64%로 껑충 뛰었다.
반려동물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동물학대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개고기 식용에 대한 국민 인식도 크게 달라진 것이 확인되고 있다.